반응형
아티초크는 일반적으로 8월에 정식해 이듬해 5∼6월에 수확하는 채소로 수확기가 짧고 저장력이 약해 수확시기를 늘리는 재배기술 개발이 필요하다.
국내에서는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에서 2009∼2011년에 유묘기에 저온처리를 해 노지에서 4월에 정식해 7월에 생산하는 기술과 노지재배와 무가온재배 기술을 혼합해 수확시기를 늘리는 기술을 개발하게 됐다.
성분
아열대성 채소 아티초크는 기능성 성분인 사이나린(Cynarin)을 함유하고 있다. 주로 이탈리아, 스페인, 프랑스 등 겨울이 따뜻한 지중해 연안 국가에서 생산되며 우리나라에서는 호텔 및 레스토랑 등에서 고급요리로 이용되는 채소이다.
특히, 아티초크에 함유된 사이나린(Cynarin)은 간기능 강화, 담즙분비 활성화, 당 조절 등 약리효과가 있어 주요 생산국가에서는 기능성 식품 등 다양한 상품으로도 개발되고 있다.
단점
짧은 수확시기및 보관의 어려움, 판로 문제로 많은 재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.
'Do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충제 이버멕틴 (Ivermectin) 에 대하여! (0) | 2022.01.10 |
---|---|
해독의 꽃 (0) | 2022.01.10 |
아티쵸크 재배법 (0) | 2022.01.06 |
얌빈(히카마).멕시코감자 재배법 (0) | 2022.01.06 |
[공유]질병으로 가는 과정은 현대의학적 검사상 알수가없습니다. 현대의학은 거짓입니다. (0) | 2021.12.22 |